염화 플루오린화 탄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염화 플루오린화 탄소(CFC)는 탄소, 염소, 불소로 구성된 화합물로, 냉매, 발포제, 에어로졸 추진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프레온류에 속하며, 오존층 파괴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어 몬트리올 의정서에 따라 생산이 규제되었다. CFC는 대기 중에서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어 오존층 파괴를 촉진하며, 강력한 온실 효과를 가지고 있다. 현재는 HCFC, HFC 등 대체 물질이 개발되었으며, 해양 순환 추적자로서도 활용된다.
프레온류는 구성 성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프레온류는 1920년대 미국에서 냉장고 냉매로 처음 개발되었다. 당시 냉장고는 암모니아 등 유독성 기체를 냉매로 사용했으나, 클로로메탄 누출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면서 더 안전한 대체 물질 개발이 요구되었다.
2. 분류
좁은 의미에서 "프레온"은 탄소, 불소, 염소만으로 구성된 클로로플루오로카본(CFC)을 가리키지만,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플루오로카본(FC)이나 수소를 포함하는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HCFC) 및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HFC), 브롬을 포함하는 할론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몬트리올 의정서에 기재된 물질들을 "프레온류"라고 칭하기도 한다.[80]
'''특정프레온'''은 몬트리올 의정서에서 오존층 파괴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지는 프레온류를 지칭한다. 초기에는 CFC-11, CFC-12, CFC-113, CFC-114, CFC-115의 5종류였으나,[82] 1992년에 15종류로 확대되었다.[83]
2. 1. 넘버링 시스템
플루오르화 알케인에는 프레온(Freon-), R-, CFC-, HCFC- 접두사가 붙은 특수한 번호 체계가 사용된다. 가장 오른쪽 값은 플루오린 원자의 수를, 그 왼쪽 값은 수소 원자의 수 ''더하기'' 1을, 그 다음 왼쪽 값은 탄소 원자의 수 ''빼기'' 1을 나타내며(0은 표시하지 않음), 나머지 원자는 염소이다.[8]
예를 들어 프레온-12는 두 개의 숫자(두 개의 숫자만 있음)를 포함하는 메탄 유도체로, 두 개의 플루오린 원자(두 번째 2)와 수소가 없음(1-1=0)을 나타낸다. 따라서 CCl2F2이다.
CFC/R/프레온 계열 화합물의 정확한 분자식을 얻는 데 적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번호에 90을 더하는 것이다. 결과 값의 첫 번째 자릿수는 탄소 원자의 수, 두 번째 자릿수는 수소 원자의 수, 세 번째 자릿수는 플루오린 원자의 수를 나타낸다. 나머지 탄소 결합은 염소 원자가 차지한다. 이 식의 값은 항상 세 자릿수이다. CFC-12를 예로 들면, 90+12=102이므로 탄소 1개, 수소 0개, 플루오린 2개, 따라서 염소 2개로 CCl2F2가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과 비교할 때 이 방법의 주요 장점은 분자의 탄소 원자 수를 제공한다는 것이다.[9]
브롬을 포함하는 프레온은 네 개의 숫자로 표시된다. 에탄 및 프로판 유도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성질체는 숫자 뒤에 문자를 붙여 표시한다.
프레온류는 ISO 817[81]에서 정한 냉매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냉매 번호는 일반적으로 Refrigerant(냉매)의 머리글자 R로 시작하며, R 다음에 2~4자리의 숫자와 영어 추가 문자가 표시된다. 냉매의 종류가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는 경우에는 R 대신 해당 물질의 명칭을 붙인 후 냉매 번호를 표기한다.
예를 들어, 냉매 번호 R12의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은 CFC-12, 냉매 번호 R115의 클로로펜타플루오로에탄은 CFC-115가 된다.
3. 역사
제너럴 모터스(GM)는 프리지데어사와의 협력을 통해 찰스 케터링, 토머스 미즐리 등에게 연구를 지시, 1928년 프레온-12(프론 12) 개발에 성공하여 특허를 취득했다. 1930년 GM은 듀폰과 함께 키네틱 케미컬 컴퍼니를 설립하고 "프레온"이라는 상표로 생산을 시작했다. 프레온은 화학적, 열적으로 매우 안정적이었기 때문에 개발 당시 "꿈의 화학 물질"로 불렸다.
1974년 네이처지에 프레온 가스에 의한 오존층 파괴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4개국이 공동 연구를 진행했으나, 1976년 미국은 경제적 영향을 이유로 규제 시행을 미루는 입장을 보였다.[84] 이후 프레온과 오존층 파괴의 연관성이 확실해지면서 1985년 오존층 보호를 위한 빈 협약,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가 채택되어 프레온류 제조 및 수입이 금지되었다. CFC 대체 물질로 HCFC와 HFC가 대체 프레온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는 HCFC와 HFC 역시 온실 효과 가스로 지구 온난화를 악화시킨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1997년 교토 의정서에 의해 규제 대상이 되었다. 일부 대체 프레온은 이산화탄소의 약 14,000배에 달하는 온실 효과를 가지고 있다.[85] 몬트리올 의정서에서는 개발도상국에서의 사용이 여전히 허용되어 문제가 되고 있다.
브롬을 포함하는 '할론(halon)'은 소화제로 사용되었으나, 클로로플루오로카본보다 오존층 파괴 능력이 강해 현재 규제 대상이다.
3. 1. 한국에서의 역사
다이킨공업의 전신인 오사카금속공업이 1935년 "다이프론(ダイフロン)"이라는 제품명으로 염화 플루오린화 탄소를 개발하여 1942년부터 양산을 시작했다.[86]
듀폰이 등록상표라는 경고를 1959년에 하자, 한국에서는 "프레온"이라고 불리던 냉매의 명칭을 "프론"으로 바꾸고, F12에서 R12처럼 냉매 번호 표기 방식도 변경했다.
1988년 오존층 파괴 물질에 관한 몬트리올 의정서를 받아들여 특정물질의 규제 등에 의한 오존층의 보호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1996년까지 CFC를 포함한 특정 프론이 전폐되었다.[87] 프론회수파괴법, 가전리사이클법, 자동차리사이클법 등 관련 법률이 제정되어 프론류 회수 및 파괴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4. 성질
프레온류는 일반적으로 무색, 무취이며, 열적,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종류에 따라 끓는점, 밀도 등 물리적 성질이 다르다. 프레온류는 알케인과 유사하게 탄소는 사면체 대칭으로 결합하지만, 플루오린과 염소 원자의 크기와 전하 차이로 인해 완벽한 사면체 대칭에서 벗어난다.[5]
CFCs와 HCFCs는 할로젠 원자의 수와 종류에 따라 물리적 특성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모 알케인보다 휘발성이 낮다. 이는 할라이드에 의해 유도된 분자 극성 때문이며, 분자간 상호작용을 유도한다. 염화물이 불화물보다 더 높은 분극성을 가지므로 CFCs는 더 높은 끓는점을 갖는다. CFCs는 극성 때문에 유용한 용매이며, 끓는점 때문에 냉매로 적합하다. 또한, CFCs는 부분적으로 C-H 결합이 적고, 염화물 및 브롬화물의 경우 방출된 할라이드가 불꽃을 유지하는 자유 라디칼을 소멸시키기 때문에 메탄보다 훨씬 가연성이 낮다. CFCs의 밀도는 해당 알케인보다 높으며, 일반적으로 염화물의 수와 상관관계가 있다.
CFCs는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어 염소 라디칼을 생성한다.
:CCl3F → CCl2F. + Cl.
염소 원자(Cl.)는 염소 분자(Cl2)와는 매우 다르게 반응한다. 염소 라디칼은 성층권에 오래 머무르면서 오존을 산소 분자로 분해시키는 촉매 역할을 한다.
:Cl + O3 → ClO + O2
:ClO + O3 → Cl + 2O2
이 때문에 CFC의 사용은 현재 엄격히 규제되고 있다. 브로민 원자는 염소보다 반응성이 더 강하므로 CFC의 브롬화물 또한 규제 대상이다.
CFC는 몬트리올 의정서를 통해 오존층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되어 단계적으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CFC의 대기 영향은 오존층 파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CFC는 7.8~15.3 μm의 스펙트럼 영역에서 C-F 및 C-Cl 결합으로부터 가장 강한 적외선 흡수띠를 가지고 있다.[14] 이 영역은 대기의 상대적인 투명성으로 인해 "대기 창"이라고 불린다.[15] CFC 흡수띠의 강도와 대기의 독특한 민감성[16]은 CFC 및 기타 비반응성 플루오린 함유 가스로부터 "초강력" 온실 효과를 만들어 낸다.[17] 특히 CFC의 낮은 농도로 인해 그 효과는 질량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할 수 있어,[17] CO2보다 온실 효과를 증폭시키는 잠재력이 훨씬 더 큰 온실 가스로 작용한다.
4. 1. 독성
프레온류는 종류에 따라 독성이 다르다. 최초로 합성된 프레온-12는 프레온류 중에서는 비교적 독성이 낮지만, 트리클로로에틸렌이나 클로로폼보다 독성이 강한 것도 있다. 대량으로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간 손상 발생 보고 사례가 있다.[77]물질 안전보건자료에 따르면, CFC와 HCFC는 무색의 휘발성 액체 및 기체로, 약간 달콤한 에테르 냄새가 난다. 11% 이상의 농도에 과다 노출되면 어지러움, 집중력 저하, 중추 신경계 억제 또는 심장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다. 증기는 공기를 대체하여 밀폐된 공간에서 질식을 일으킬 수 있다. 염화불화탄소의 피부 흡수는 가능하지만, 그 양은 적다. 흡입된 염화불화탄소의 폐 흡수는 빠르게 일어나며, 최고 혈중 농도는 불과 15초 만에 나타나고 20분 후에는 농도가 안정된다. 경구 섭취된 염화불화탄소의 흡수는 흡입에 비해 35~48배 낮다.[77] 비가연성이지만, 연소 생성물에는 불화수소산 및 관련 물질이 포함된다.[78]
일반적인 작업장 노출 수준은 0.07%로 평가되며, 심각한 건강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다.[79]
5. 반응
CFCs의 가장 중요한 반응은 C-Cl 결합의 광반응이다.[10]
:CCl3F → CCl2F. + Cl.
염소 원자(Cl.)는 염소 분자(Cl2)와는 매우 다르게 반응한다. 라디칼(Cl.)은 성층권에 오래 머무르며, 오존을 산소 분자(O2)로 전환하는 촉매 역할을 한다. 반응 과정은 다음과 같다.[11]
:Cl + O3 → ClO + O2
:ClO + O3 → Cl + 2O2
오존은 UV-B 자외선을 흡수하므로, 오존층이 파괴되면 이러한 고에너지 자외선이 지표면에 더 많이 도달하게 된다. 브롬 원자는 훨씬 더 효율적인 촉매이므로, 브롬화 CFC도 규제 대상이다.[11]
6. 이용
염화 플루오린화 탄소(CFC)는 독성, 가연성, 반응성이 낮아 널리 사용되었다.[89] 냉매, 발포제, 용매 세정, 의료용 에어로졸 추진제 등으로 사용되었다.[89][6] 테플론의 단량체인 사불화에틸렌의 원료 물질로 매년 수십억 킬로그램이 생산되기도 했다.[89]
1920년대 이전에는 냉장고 냉매로 암모니아, 이산화황, 클로로메탄 등 독성 가스가 사용되었다. 1920년대 후반, 냉장고에서 클로로메탄 누출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자, 미국 기업들은 더 안전한 대체 물질 개발에 나섰다. 그 결과 토머스 미들리 주니어(Thomas Midgley Jr.)가 CFC를 합성했고, 1930년 General Motors와 Du Pont는 프레온(Freon)을 생산하기 시작했다.[23] [24] [25] 1932년에는 캐리어가 CFC를 사용한 에어컨을 출시했다. CFC는 무독성이라는 장점 덕분에 대형 에어컨 시스템에도 널리 사용되었고, 도시 공중 보건법은 공공 건물에서 CFC를 냉매로 사용하도록 개정하기도 했다.[26]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다양한 클로로알케인이 군용 항공기에서 사용되었고, 전쟁 후에는 민간 항공에서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1960년대에는 플루오로알케인과 브로모플루오로알케인이 개발되어 소화 물질로 활용되었다.[29] 할론 1301과 할론 1211은 컴퓨터실, 통신 스위치, 연구소, 박물관 등 물이나 분말 소화기가 적합하지 않은 곳에 사용되었다. 1970년대부터는 군함을 시작으로 밀폐된 공간에서 화재를 진압하는 데 사용되었다.[29]
CFC는 1970년대까지 연간 최대 1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할 정도로 성장했지만, 1974년 CFC가 오존층을 파괴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환경 운동이 시작되었다.[27][28]
7. 규제
오존층 파괴와 지구 온난화 문제로 인해 국제적으로 프레온류의 생산 및 사용이 규제되고 있다. 1985년 오존층 보호를 위한 빈 협약이 채택되었고,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가 채택되어 프레온류 제조 및 수입 금지가 결정되었다.[84] CFC를 대체하여 오존층 파괴 가능성이 낮은 HCFC와 HFC가 대체 프레온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는 HCFC와 HFC도 온실 효과 가스로 문제가 되어, 1997년 교토 의정서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85]
몬트리올 의정서 당시, 시스템 테스트 및 유지보수 중 의도적 또는 우발적 배출량이 비상 배출량보다 훨씬 많다는 것이 인식되어 할론(halons)이 조약에 포함되었다.(단, 예외 조항이 많음)[36][37][38]
몬트리올 의정서에 따라 CFC 생산과 소비는 규제되지만, 기존 CFC 저장량으로 인한 배출은 규제되지 않는다. 이러한 CFC는 고온의 제어된 소각을 통해 안전하게 포집 및 파괴할 수 있다.[41]
수소불화탄소는 교토 의정서에 포함되어 있으며, 높은 지구 온난화 지수(GWP)와 할로카본이 기후 변화에 기여한다는 인식으로 인해 몬트리올 의정서의 키갈리 개정안에 따라 규제받고 있다.[51]
2007년 유엔 몬트리올 정상 회의에서 약 200개국이 2020년까지 수소염화불화탄소의 완전한 제거를 가속화하기로 합의했다. (개발도상국은 2030년까지 유예) 이전에 이러한 노력에 반대했던 미국과 중국도 가속화된 단계적 감축 일정에 동의했다.[53] 인도는 2020년에 HCFC-141b의 완전한 단계적 감축을 성공적으로 달성했다.[54]
몬트리올 의정서에 따른 단계적 감축으로 대기 중 HCFC 수치가 2021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했다.[55]
조약 준수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프레온은 재활용된 것뿐이어서 가격이 상승했다. 전 세계적인 생산 중단은 프레온 밀수를 종식시켜야 하지만, 유엔환경계획(UNEP) 보고서(2006년)에 따르면 프레온 밀수 문제가 존재한다. 1990년대 중반에 16,000~38,000톤의 프레온이 암시장을 통해 거래되었고, 매년 7,000~14,000톤의 프레온이 개발도상국으로 밀수되고 있다. 아시아 국가들이 밀수가 가장 많으며, 2007년 기준 중국, 인도, 한국이 세계 프레온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했다.[32] 한국은 2010년에 프레온 생산을 금지하였다.[33]
7. 1. 한국의 규제 현황 및 정책 방향
대한민국은 몬트리올 의정서 및 관련 국내 법률에 따라 프레온류의 생산 및 사용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정부는 프레온류 감축 및 대체 물질 전환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의 일환이다. 친환경 냉매 개발 및 보급, 냉매 회수 및 재활용 시스템 구축 등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일본에서는 비엔나 협약과 몬트리올 의정서를 받아들여 1988년에 특정물질의 규제등에 의한 오존층의 보호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1996년까지 CFC를 포함한 특정 프레온이 전폐되었다.[87] 또한, 지금까지 사용되어 온 프레온류의 회수·파괴를 위해 프론회수파괴법, 가전리사이클법, 자동차리사이클법 등의 법률이 제정되어 프레온류가 포함된 제품의 폐기 시 적정한 회수 및 파괴 처리의 실시 등이 의무화되어 있다.
8. 대체 물질 개발
1920년대 후반, 냉장고에서 클로로메탄 누출 사고가 발생하자, 미국 기업들은 더 안전한 대체 물질 개발에 착수했다. 토머스 미들리 주니어(Thomas Midgley Jr.)는 최초의 염화 플루오린화 탄소(CFCs)를 합성했고, 1930년 General Motors와 Du Pont는 프레온 생산을 시작했다.[23] [24] [25] CFCs는 무독성으로 인해 대형 에어컨 시스템에서 빠르게 선호되는 냉매가 되었고, 도시의 공중 보건법은 공공 건물에서 CFCs를 사용하도록 개정되었다.[26]
1974년, F. 셔우드 롤런드와 마리오 몰리나는 CFCs 사용이 오존층 파괴를 야기한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는 몬트리올 의정서 제정으로 이어졌다.[27][28] 1994년에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CFCs 생산이 중단되었지만, 일부 용도에서는 여전히 사용되었다.[44][45][46]
CFCs의 임시 대체물은 수소염화불화탄소(HCFC)였으나, 이 역시 오존층을 파괴하여 수소불화탄소(HFC)로 대체되었다. HFC는 오존층 파괴 지수(ODP)가 0이지만, 높은 지구 온난화 지수(GWP)를 가진다.[48] [49] 듀폰은 1980년대부터 HFC를 생산하기 시작했다.[50]
8. 1. CFCs 및 HCFCs 대체 물질
수소불화탄소(HFCs)는 오존층 파괴 지수(ODP)가 0이지만, 높은 지구 온난화 지수(GWP)를 가져 몬트리올 의정서의 키갈리 개정안에 따라 규제받고 있다.[49][51]탄화수소 냉매 (프로판, 이소부탄 등)는 환경 영향이 적고 냉동/냉방 효율이 우수하여 일부 분야에서 사용된다.[59]
수소불화올레핀(HFOs)은 낮은 GWP와 짧은 대기 수명을 가져, CFCs, HCFCs, HFCs의 친환경적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63][64] HFOs는 오존층 파괴 지수가 0.0으로, CFC-11의 1.0에 비해 현저히 낮다.
자연 냉매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등)는 환경 영향이 매우 적어 산업용 및 상업용 냉동/냉방 시스템에 사용된다.[59]
정량 흡입기(MDI) 추진제로는 HFC-134a (CF3CFH2)와 HFC-227ea (CF3CHFCF3)와 같은 "'''수소불화알칸'''"이 개발되어 오존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61]
용도 | 이전에 사용된 프레온 가스(CFCs) | 대체 물질 |
---|---|---|
냉장 및 에어컨 | CFC-12 (CCl2F2); CFC-11(CCl3F); CFC-13(CClF3); HCFC-22 (CHClF2); CFC-113 (Cl2FCCClF2); CFC-114 (CClF2CClF2); CFC-115 (CF3CClF2); | HFC-23 (CHF3); HFC-134a (CF3CFH2); HFC-507 (HFC 125 (CF3 CHF2)와 HFC-143a (CF3CH3)의 1:1 공비 혼합물); HFC 410 (HFC-32 (CF2H2)와 HFC-125 (CF3CF2H)의 1:1 공비 혼합물) |
의약품 에어로졸의 추진제 | CFC-114 (CClF2CClF2) | HFC-134a (CF3CFH2); HFC-227ea (CF3CHFCF3) |
발포제 | CFC-11 (CCl3F); CFC 113 (Cl2FCCClF2); HCFC-141b (CCl2FCH3) | HFC-245fa (CF3CH2CHF2); HFC-365 mfc (CF3CH2CF2CH3) |
용제, 세척제, 세정제 | CFC-11 (CCl3F); CFC-113 (CCl2FCCClF2) | HCFC-225cb (C3HCl2F5) |
8. 2. HFCs 대체 물질
수소불화올레핀(HFOs)은 2016년 키갈리 개정 의정서 이후 수소불화탄소(HFCs)를 대체하기 위한 물질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키갈리 개정 의정서는 높은 지구온난화지수(GWP)를 가진 냉매의 단계적 감축을 촉구하고 이산화탄소에 가까운 낮은 GWP를 가진 다른 냉매로 대체할 것을 요구했다.[62] HFOs는 주요 CFC-11의 1.0에 비해 오존층 파괴 지수가 0.0이며, 낮은 GWP를 가지고 있어 환경적으로 CFCs, HCFCs 및 HFCs에 비해 안전한 대안이 된다.[63][64]HFO는 높은 GWP를 가진 HFC가 사용되었던 용도에 대한 기능적 대체물로 사용된다. 2022년 4월,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비도로 차량의 자동차 에어컨 및 소형 냉매 용기의 충전구에 대한 중요 신규 대체물 정책(SNAP) 프로그램에 따라 HFO-1234yf를 등재하는 사전 공개 최종 규칙에 서명했다. 이 규칙은 오존층 파괴 물질인 CFCs(예: R-12) 및 높은 GWP를 가진 HFCs(예: R-134a)가 사용되었던 용도에 HFO-1234yf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65] 자동차 산업에서 CFCs 및 HFCs의 단계적 감축 및 대체는 궁극적으로 이러한 기체의 대기 중 방출을 줄이고 기후 변화 완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다.[66][67]
9. 해양 순환 추적자로서의 활용
염화 플루오린화 탄소(CFCs)는 1930년대부터 에어컨, 냉장고, 발포제(폼), 단열재 및 포장재, 에어로졸 분무기의 추진제, 용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대기 중으로 방출된 인위적인 화합물이다.[68] 대기 중 CFC 농도의 시간적 변화는 비교적 잘 알려져 있어, CFC는 해양 순환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CFC는 해수면에서 해수에 용해된 후 해양 내부로 이동한다. CFC는 불활성이므로 해양 내부 농도는 대기 중 시간적 변화와 해양 순환 및 혼합의 영향을 받는다.[69]
CFCs가 해양으로 유입되면서 해양 순환과 혼합 과정의 속도와 경로를 추정하는 데 매우 유용한 추적자 역할을 한다.[69] 그러나 1980년대 CFCs 생산 제한으로 인해 대기 중 CFC-11과 CFC-12의 농도 증가가 멈추었고, 대기 중 CFC-11 대 CFC-12 비율이 꾸준히 감소하여 수괴의 연대 측정이 어려워졌다.[69] 1970년대 이후 육불화황(
해양 순환의 추적자로 CFCs 또는
:
여기서 [CFC]는 측정된 CFC 농도(pmol kg−1)이고, F는 온도와 염도의 함수로서 해수 중 CFC 기체의 용해도이다.[72] CFC 분압은 10⁻¹² 기압 또는 ppt(parts-per-trillion) 단위로 표현된다.[73] CFC-11과 CFC-12의 용해도 측정은 Warner와 Weiss에 의해 측정되었고,[73] CFC-113의 용해도 측정은 Bu와 Warner,[74]
총압력 1기압에서 용해도(F)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74]
:
여기서 F는 mol l−1 또는 mol kg−1 atm−1로 표현된 용해도, T는 절대 온도, S는 천분율(ppt)로 표현된 염도, a1, a2, a3, b1, b2, b3는 용해도 측정값에 대한 최소 제곱 적합으로부터 결정되는 상수이다.[74] 이 방정식은 적분된 반트호프 방정식과 로그 Setchenow 염도 의존성으로부터 유도된다.[74]
CFC의 용해도는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섭씨 1도당 약 1% 증가한다.[71]
CFC(또는
참조
[1]
웹사이트
Climate Change
https://obamawhiteho[...]
2022-04-11
[2]
논문
Hydrocarbon pollution of the sea and its influence on marine organisms
[3]
웹사이트
Ozone layer treaty could tackle super polluting HFCs
http://www.rtcc.org/[...]
2022-04-11
[4]
웹사이트
Hydrofluoroolefins
https://www.gab-neum[...]
2023-12-12
[5]
서적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2000
[6]
서적
Environmental Tracers in Subsurface Hydrology
2000
[7]
서적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2006
[8]
웹사이트
Ice Breaker: Refrigerant Numbering System Explained {{!}} ACHR News
https://www.achrnews[...]
2023-12-12
[9]
웹사이트
Numbering of refrigerants • Darment
https://darment.eu/n[...]
2023-12-12
[10]
웹사이트
NOAA Global Monitoring Laboratory - Halocarbons and other Atmospheric Trace Species
https://gml.noaa.gov[...]
2023-12-12
[11]
웹사이트
Halons Program
https://www.epa.gov/[...]
2015-07-15
[12]
웹사이트
The NOAA Annual Greenhouse Gas Index (AGGI)
https://gml.noaa.gov[...]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2024
[13]
서적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Fifth Assessment Report
2020-07-15
[14]
논문
The HITRAN 2008 molecular spectroscopic database
https://scholarworks[...]
2009-06
[15]
논문
Greenhouse Effect Due to Chlorofluorocarbons: Climatic Implications
[16]
논문
Identifying the Molecular Origin of Global Warming
2009-11-12
[17]
논문
Air pollution, greenhouse gases and climate change: Global and regional perspectives
[18]
서적
Chemistry and the Environ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19]
논문
Infrared band intensities and global warming potentials of {{chem|C|F|4}}, {{chem|C|2|F|6}}, {{chem|C|3|F|8}}, {{chem|C|4|F|10}}, {{chem|C|5|F|12}}, and {{chem|C|6|F|14}}
1995-04
[20]
웹사이트
One overlooked way to fight climate change? Dispose of old CFCs.
https://www.national[...]
2019-04-29
[21]
웹사이트
NASA Study: First Direct Proof of Ozone Hole Recovery Due to Chemicals Ban
https://www.nasa.gov[...]
NASA
2018-01-04
[22]
보도자료
Scientists discover the source of new CFC emissions
https://www.scienced[...]
University of Bristol
2019-05-22
[23]
웹사이트
Where Does Freon Come From?
https://www.thoughtc[...]
2016-08-12
[24]
서적
Scientific American inventions and discoveries : all the milestones in ingenuity—from the discovery of fire to the invention of the microwave oven
John Wiley & Sons
[25]
서적
Something New Under the Sun: An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Twentieth-Century World (The Global Century Series)
W. W. Norton
[26]
웹사이트
NOAA Global Monitoring Laboratory - Halocarbons and other Atmospheric Trace Species
https://gml.noaa.gov[...]
2023-12-12
[27]
웹사이트
Chlorofluorocarbons and Ozone Depletion
https://www.acs.org/[...]
2023-12-12
[28]
웹사이트
Back from the brink: how the world rapidly sealed a deal to save the ozone layer
https://rapidtransit[...]
2023-12-12
[29]
웹사이트
Vienna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the Ozone Layer
https://legal.un.org[...]
2023-12-12
[30]
논문
The Relationship of Meteorological and Anthropogenic Factors to Time Series Measurements of CFC-11, CFC-12, and CH3CCl3 Concentrations in the Urban Atmosphere
2008-10
[31]
보고서
Toxic Substances: A Half Century of Progress
https://www.epaalumn[...]
EPA Alumni Association
2016-03-01
[32]
서적
Illegal Trade in Ozone Depleting Substances
http://www.mea-ren.o[...]
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
2007
[33]
뉴스
S. Korea to ban import, production of freon, halon gases in 2010
https://en.yna.co.kr[...]
2009-12-23
[34]
뉴스
Ozonkiller: Ein verbotener Stoff in der Atmosphäre – WELT
https://www.welt.de/[...]
2018-05-16
[35]
뉴스
Ozone hole-forming chemical emissions increasing and mysterious source in East Asia may be responsible
https://www.independ[...]
2018-05-16
[36]
웹사이트
Halon essential use exemptions
https://www.dcceew.g[...]
2024-05-17
[37]
웹사이트
Ozone Secretariat
https://ozone.unep.o[...]
2023-12-12
[38]
웹사이트
Phase out of Halons : Firesafe.org.uk
https://www.firesafe[...]
2023-12-12
[39]
논문
HFCs and PFCs: Current and Future Supply, Demand and Emissions, plus Emissions of CFCs, HCFCs and Halons
https://web.archive.[...]
[40]
웹사이트
Chlorofluorocarbons: An Overlooked Climate Threat, EESI Congressional Briefing
https://web.archive.[...]
2011-09-24
[41]
웹사이트
The cool way to destroy CFCs
https://www.newscien[...]
2023-12-12
[42]
서적
Domestic Source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Industry, Environmentalists, and U.S. Power
MIT Press
2000
[43]
간행물
Ethics of Du Pont's CFC Strategy 1975–1995
1998
[44]
웹사이트
Phaseout of Class I Ozone-Depleting Substances
https://www.epa.gov/[...]
2015-07-22
[45]
웹사이트
Ozone depleting substances
https://environment.[...]
2023-12-12
[46]
웹사이트
Manageme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n Defence
https://assets.publi[...]
2024-05-17
[47]
웹사이트
Welcome to the Halon Corporation
https://web.archive.[...]
2011-09-24
[48]
간행물
A history of chemically and radiatively important gases in air deduced from ALE/GAGE/AGAGE
2000-07-27
[49]
웹사이트
Ozone Layer Depletion
https://web.archive.[...]
2008-06-25
[50]
웹사이트
Freon : 1930. In Depth
https://web.archive.[...]
2011-09-24
[51]
뉴스
A Novel Tactic in Climate Fight Gains Some Traction
https://www.nytimes.[...]
2013-02-05
[52]
간행물
The importance of the Montreal Protocol in protecting climate
[53]
웹사이트
HCFC Phaseout Schedule
https://web.archive.[...]
2011-09-24
[54]
웹사이트
India achieves complete phase out of one the most potent ozone depleting chemical
https://pib.gov.in/P[...]
2022-06-02
[55]
간행물
A decrease in radiative forcing and equivalent effective chlorine from hydrochlorofluorocarbons
2024-06-11
[56]
웹사이트
Emissions of several ozone-depleting chemicals are larger than expected
https://news.mit.edu[...]
2022-10-18
[57]
웹사이트
Refrigerant Management @ProjectDrawdown #ClimateSolutions
https://www.drawdown[...]
2022-10-18
[58]
문서
acp.copernicus.org article
https://acp.copernic[...]
[59]
웹사이트
Greenpeace, Cool Technologies
https://web.archive.[...]
2011-09-24
[60]
웹사이트
Use of Ozone Depleting Substances in Laboratories. TemaNord 516/2003
https://web.archive.[...]
2011-09-24
[61]
간행물
Use of hydrofluoroalkane propellant delivery system for inhaled albuterol in patients receiving asthma medications
[62]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acceptable fluorocarbons
2018
[63]
웹사이트
The Environmental Benefits of HFOs
https://sustainabili[...]
2023-12-12
[64]
웹사이트
What are HFO Refrigerants? Their Benefits and Applications
https://whatispiping[...]
2023-12-12
[65]
웹사이트
Association of Equipment Manufacturers
https://www.aem.org/[...]
2024-05-17
[66]
웹사이트
Automobile Air Conditioners and Chlorofluorocarbons (CFCs)
https://p2infohouse.[...]
2023-12-12
[67]
웹사이트
Phasing Down HFCs
https://www.nrdc.org[...]
2023-12-12
[68]
서적
Use of Chlorofluorocarbons in Hydrology: A Guidebook
https://www-pub.iae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2006
[69]
간행물
The shipboard analysis of trace levels of sulfur hexafluoride, chlorofluorocarbon-11 and chlorofluorocarbon-12 in seawater
2008-08
[70]
간행물
Comparison of Time-Dependent Tracer Ages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Oceanic Background Levels of (SF6, CFC-11, CFC-12 and CFC-113
2003
[71]
논문
Observations of CFCs and SF6 as Ocean Tracers
2011-01-15
[72]
논문
Solubilities of chlorofluorocarbons 11 and 12 in water and seawater
1985-12-01
[73]
논문
Estimated rates of carbon tetrachloride removal in the thermocline and deep waters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2010-08-01
[74]
논문
Solubility of chlorofluorocarbon 113 in water and seawater
1995-07-01
[75]
논문
Analysis of sulfur hexafluoride in seawater
1991-05-15
[76]
논문
The solubility of sulfur hexafluoride in water and seawater
2002-01-01
[77]
서적
Encyclopedia of Toxicology
2014
[78]
웹사이트
Material Safety Data Sheet
http://www.refrigera[...]
National Refrigerants
[79]
웹사이트
Fully Halogenated Chlorofluorocarbons
http://www.inchem.or[...]
International Programme on Chemical Safety
[80]
법률
フロン類の使用の合理化及び管理の適正化に関する法律
[81]
웹사이트
ISO 817:2005 Refrigerants -- Designation system
http://www.iso.org/i[...]
[82]
웹사이트
http://www.eic.or.jp[...]
[83]
간행물
特定フロンの全廃へ向けて
http://www.erca.go.j[...]
独立行政法人環境再生保全機構
[84]
뉴스
炭化フッ素の即時規制反対 米商務省
朝日新聞
1976-01-14
[85]
서적
ニュートン別冊・沸騰する地球
株式会社ニュートンプレス
2024-09-30
[86]
웹사이트
沿革
https://www.daikin.c[...]
ダイキン工業
2024-10-02
[87]
간행물
守ろうオゾン層 防ごう地球温暖化
https://www.meti.go.[...]
経済産業省
[88]
웹사이트
CFC
https://ko.wikisourc[...]
[89]
서적
Chlorinated Hydrocarbons
Wiley-VCH, Weinhei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